본 연구를 위해 사전 방문계획을 세워 2018년 5월 28일 경로당에 찾아가 당회장과 총무를 비롯한 노인들과 만나 연구 계획서를 드리고 구두로 자세하게 설명을 하였다. 2014년 예비 연구 기간에는 복지관에서 정해준 일정대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지만, 본 연구를 위해 새로운 일정을 계획해야했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예비 연구 당시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분들 중 몇 명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간 경우도 있었고, 한 분은 사망하기도 하였다. 연구 참여 인원과 관련해 예비 연구 기간에 간헐적(4회 정도 참여)으로 참여했던 젊은 노인들의 연구 참여를 부탁하고 다음날 다시 만나기로 하고 1차 만남을 종료하였다.
일정과 연구 참여자 확정을 위해 5월 31일 요가 프로그램 강사의 수업이 끝나는 오후 3시에 다시 만나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재설명하였고 새롭게 참여하는 노인들과도 인사를 나누고 일정을 확정하고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총 연구 참여자는 13명이었고, 1차 프로그램은 6월 5일부터 7월 5일까지 매주 2회씩 10회를 수행하였고, 2차 프로그램은 7월 23일부터 8월 10일까지 주 5회씩 10회를 수행하였다. 1차와 2차 사이 공백 기간은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인 대·소사가 그 기간에 일부가 있어서 부득이 하게 휴식을 가졌고, 2차 프로그램이 주 5회씩 2주간에 걸쳐 진행한 이유는 본격적인 여름 더위가 오기 전에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위해 합의한 사항이었다.
아래 <표 15>는 본 연구의 실행 계획 및 자료 수집 기간이다. <표 16>는 세부 추진 계획이고 <표 17>은 본 연구에 활용한 치매예방 놀이 목록이다.
<표 15> 본 연구의 실행 계획 및 자료 수집 기간
<표 16> 본 연구 세부 추진 계획
<표 17> 본 연구에 활용한 치매예방 놀이
전남희(2018) " 노인 대상 치매예방 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례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여가문화 전인교육센터-부설 노인재활놀이연구소 02-2631-6513, 전남희 010-3355-8272
'재활놀이와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의 준비와 배경(질적 연구에 대한 준비) (0) | 2019.07.11 |
---|---|
연구 참여자 선정과 일반적 특성 (0) | 2019.07.10 |
예비 연구 준비 및 과정 (0) | 2019.07.08 |
연구 방법: 사례연구 (0) | 2019.07.05 |
선행연구 논문에 나타난 노인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 제언 분류 (0) | 201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