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세 영역의 연구 기간
연구기간을 시간으로 환산해 분석해 본 결과 단기 연구 시간은 노인 치료레크리에이션의 480분이었고, 장기 연구시간은 6,480분이었다. 연구 기간의 길고 짧음이 중요하다기보다는 효과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라 하면 연구 참여자들과의 라포 형성 기간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라포 형성 기간을 충분히 가졌고, 연구 시간은 총 20회, 회당 60분, 1,200분을 실시하였다.
전남희(2018) " 노인 대상 치매예방 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례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여가문화 전인교육센터-부설 노인재활놀이연구소 02-2631-6513, 전남희 010-3355-8272
'재활놀이와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행연구 논문에 나타난 노인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에 활용된 기능적 요소 (0) | 2019.07.01 |
---|---|
선행연구 논문에 나타난 노인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 연구 검증 요인에 따른 유형 분류 (0) | 2019.06.28 |
선행연구 논문에 나타난 노인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 연구 방법 (0) | 2019.06.25 |
선행연구 논문에 나타난 노인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 대상의 심신 상태 (0) | 2019.06.24 |
효과성의 개념과 검증 범위 (0) | 2019.06.21 |